만성부비동염 원인‧증상과 치료 방법

미소로한의원 영등포점 서희연 원장
일교차가 커지고 기온이 내려가면서 우리의 몸은 바뀐 환경에 적응해나가느라 바쁘다. 그 중 외부에서 공기를 받아들이는 코점막 역시 과민해지기 마련인데 이로 인해 잠잠했던 비염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한다.
코막힘, 콧물, 재채기를 대표증상으로 보이는 비염은 겨울철에도 흔하게 악화되는 질환 중 하나이며, 비염의 악화는 또 하나의 동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바로 축농증이다. 비염이 축농증을 유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축농증이 어떤 질환인지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축농증이란 의학적으로 부비동염이라 칭한다. 축농(蓄膿)은 한자로 ‘농이 쌓인다’는 뜻이다. 우리 얼굴 속을 들여다보면 코 주변에 부비동이라는 빈 공간이 존재한다. 이 부비동이란 공간에 염증이 발생하고 농이 쌓이는 질환을 축농증, 즉 부비동염이라고 한다.
부비동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노란 콧물 혹은 노란 가래이다. 그러나 급성 부비동염인지 만성 부비동염인지에 따라서도 증상의 차이가 있다. 급성 부비동염은 발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화농성의 콧물과 더불어 안면부의 통증이나 압박감, 두통, 치통 등의 증상이 흔하게 동반되는 반면, 만성 부비동염은 후비루, 후각저하, 두중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만성 부비동염은 급성 부비동염과 비교해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고 심하지 않기 때문에 모르고 있다가 뒤늦게 질환을 발견하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만성 부비동염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이며, 비염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만성 부비동염은 자연공이 막혀서 발생한다.자연공이란, 코와 부비동 사이의 작은 구멍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부비동의 농이 코로 배출되기도 하고, 부비동으로 공기가 드나들면서 부비동이 환기가 되기도 한다.만성 비염으로 코점막의 염증과 농이 장기화되고, 이로 인해 자연공이 막히게 되면, 부비동의 농이 배출될 수 없고 환기도 어려워져 부비동의 염증이 낫지 않고 지속되면서 만성 부비동염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만성 부비동염을 제대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코 상태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비동염은 외과적으로 농을 긁어내고 배출하는 수술을 하더라도 다시 재발되는 경우가 흔한데,코 상태가 좋지 않으면 부비동염은 언제든 재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좋은 코 상태란 무엇일까. 코가 하나도 막히지 않고, 콧물이 하나도 흐르지 않으면 그것이 좋은 코 상태일까. 코막힘과 콧물은 우리 몸의 방어기능 중의 하나이다. 최전방의 코점막이 자기 기능을 수행하여 나타나는 증상인 것이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막힐 때는 막혀줘야하고, 콧물이 나야할 때는 나야한다. 더불어 불필요한 경우는 코가 막히지 않고 콧물이 없어야한다.
이러한 좋은 코 상태를 위해서 선행되어야하는 조건이 있다. 바로 제대로 숨을 쉬는 것이다. 코 안을 살펴보면 비갑개라는 구조가 선반처럼 층층이 배열돼 있어 구불구불 숨길이 나있다. 아마 처음 보게 된다면 많이 신기해보일 수도 있다.
제대로 숨을 쉰다는 것은 코의 구석구석까지, 부비동까지 공기가 도달해 환기가 된다는 의미이다. 그래야 비강, 부비강이 염증 없이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점막이 과민해지지 않고, 필요할 때에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제대로 숨을 쉬어 비강과 부비강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치료하고 있다. 코점막의 비강사혈, 배농치료 등을 통해 숨길을 확보하는 외부치료와 더불어 코점막의 과민과 염증을 유발한 내부요인을 분석해 바로잡는 내부치료를 통해 제대로 숨을 쉴 수 있게 된다면, 오래된 만성 비염, 만성 부비동염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인체는 제 각기 자기의 자리에서 제 할 일을 잘 해낼 때 건강이 유지된다. 우리 몸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그 자체가 치료 대상이 아닌 경우가 많다. 많은 경우 증상은 인체의 방어기능 중 하나이며, 도와달라는 신호이다. 드러난 증상에 집중해 증상을 억제하다보면 주어진 기능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그보다는 증상이 왜 나타났는지 원인을 밝히고,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것에 집중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우리가 좀 더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