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성일 : 2017.03.13 17:06:35
- 조회수 : 1987
아토피성피부염 경증과 중증 차이는?
아토피성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만성 재발성 습진으로, 병을 앓아온 기간,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의 유무, 피부의 상태에 따라 경증(輕症)과 중증(重症)으로 나뉘게 됩니다. 그럼 아토피성피부염이 심하지 않은 경증, 아토피성피부염이 심한 중증의 차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비교를 통해 알아봅시다.
[아토피성피부염 경증(輕症)]
- 증상이 비교적 최근에 발생한 경우
-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한 횟수, 기간, 강도가 적은 경우
- 스테로이드 연고의 사용을 중지해도 극심한 리바운딩 증상(피부색 변화, 짓무름, 부종 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 가려움으로 피부를 긁긴 하지만 진물까지 나지 않는 경우
- 피부에 두터운 각질, 색소침착, 태선화가 없는 경우
- 가려움의 정도가 극심하지 않는 경우
- 증상 발현 부위에 국소적인 경우 (전신적인 피부 증상이 드묾)
- 피부 촉진 시 약간의 각질, 건조감만 느껴지는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중증(重症)]
- 증상이 발생된 지 오래된 경우
- 스테로이드 연고를 오랫동안 강도가 높은 것으로 사용한 경우
-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을 중단하면 극심한 리바운딩 증상(피부색 변화, 짓무름, 부종 등)이 발생하는 경우
-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하더라도 증상의 호전 반응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
- 피부가 짓물러 자주 진물이 나는 경우
- 피부의 두터운 각질, 색소침착, 태선화가 있는 경우
- 가려움의 정도가 극심해 긁어서 진물, 피가 나는 경우
- 증상이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혹 특정 부위가 극심하게 손상된 경우
- 피부 촉진 시 피부가 두껍고 거친 질감이 느껴지는 경우
리바운딩이란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하다 중지하면서 그 동안 피부 내부에 축적되었던 염증이 배출되는 상황을 말합니다.